본문 바로가기
투자스토리/공부 (리포트, 유튜브)

[사업보고서] 주식 지분희석 요인 찾기 (CB 등)

by Shaq_Fun 2021. 12. 13.
반응형

* 텔레그램 : https://t.me/repeatandrepeat

잠재 지분 희석 요인 찾기

   인터넷의 발달 덕에 수많은 정보들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세상이다. 특히, 유튜브의 발달과 함께 각계각층의 실력자들 (어중이떠중이도 많아서 문제지만) 이 유튜브라는 매체로 뛰어들어서 과거에는 쉽게 접하기 힘든 정보들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유튜브 및 온라인 매체의 발달로 수많은 내 스승님 (?) 들이 존재하는데, 가치투자자로 유명한 '송종식' 님도 그중 한 분이다. 오늘은 '송종식'님이 올려준 강의에 대해 학습 차원에서 정리해 봤다.

 

 

거두절미하고 시작하겠다.

 

시가총액 100억인 기업을 예시로 알아보자

 - 시가총액 100억, 해당 기업 발행 주식이 총 100주 -> 따라서 1주당 1억

-> 회사에서 주식을 추가 발행하여 100주가 1,000주가 되었을 때 1주 가치 : 1,000만 원 (100억 / 1,000)

* 핵심 : 내가 주식을 1억에 한 주 샀는데, 잠재적으로 추가 발행할 주식이 있을 경우 1주 가치가 1억에서

1,000만 원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를 사전에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

 

예시 1) 엔씨소프트

전자공시시스템 (fss.or.kr)

 

전자공시시스템

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

dart.fss.or.kr

 

1) Dart 접속 -> '엔씨소프트' 검색 -> 사업보고서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또는 사업보고서)

-> 회사의개요 -> 4. 주식의 총수 등

 

 

1) 발행할 주식의 총수: 발행 가능한 주식수 : 100,000,000 (1억 주)

2)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현재 발행된 주식수 : 21,954,022 (약 2,200만)

3) 엔씨소프트 회사 소유 주식 : 1,424,615

4) 시장에 유통된 주식 : 20,529,407 (엔씨소프트 보유 주식 약 140만 제외)

 

 

주식매수선택권 - '스톡옵션'이란?

1) '임원의 보수'

-> '주식매수선택권'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스톡옵션'을 의미. 일반적으로 '스톡옵션'은 회사 설립 초반 비전 및 기술은 있지만, 연봉 및 복지를 주기 힘들 경우 이를 대신 '스톡옵션'을 준다.

-> 스톡옵션을 뜻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의 경우에는 우선 아래 보는 것처럼 '엔씨소프트'는 해당 사항이 없으므로, '에코마케팅'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엔씨소프트' 스톡옵션 해당 사항 없음

예시 2) 에코마케팅을 통해 알아보는 '스톡옵션'을 통한 잠재적 지분 희석 요인

 - 부여받은 자 : 스톡옵션을 받은 리스트

 - 박효영 님 예시

 -> 최초 부여수량 : 140,000 (14만 주) 중 현재 40,000주 행사

 -> 행사 가격 (2,500) : 에코마케팅 주식을 1주당 2,500원에 살 수 있다는 뜻 (행사 기간 사이에)

 -> 박효영 님의 경우 40,000주를 2,500원에 매입하였고, 현재 미행사 수량 100,000주가 남아 있음

 -> 박효영님 100,000 (10만) 주 포함 미행사수량 전체가 잠재적으로  시장에 풀릴 수 있음)

 -> '스톡옵션'의 경우 취소될 수 있지만, 미래에 얼마만큼 취소될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우선 미행사수량 전체를 기존 발행 주식과 합쳐 계산하는 것이 안전하다.

 

예시 3) '나인테크'의 CB, BW를 통해 알아보는 잠재적 지분 희석 요인

- CB (전환사채) 란?

 

CB(전환사채)란 무엇이며 주가에 어떤 영향을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CB(전환사채)란 무엇이며 주가에 어떤 영향을

오늘의 주식 용어는 CB(전환사채)입니다. 주식 매매를 하시다 보면 CB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대...

blog.naver.com

 

-BW (신주인수권부사채)란?

 

신주인수권부사채(BW)란 무엇인가? - BW의 특징, 가치 측정, CB와의 비교 차이점, 분리형BW vs 비분리형BW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신주인수권부사채(BW)란 무엇인가? - BW의 특징, 가치측정, CB와의 비교 차이점, 분리형BW vs 비분리

신주인수권부 사채 [ bond with warrant , 新株引受權附社債 ] 신주인수권부사채란. 요약 발행회사의 주식...

blog.naver.com

 

1)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또는 사업보고서) 3-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참고

 

 

 

2) 전환 조건 및 미상환사채 부분 참고

 

-> 즉, 4,956원에 3,430,105주가 시장에 풀릴 수 도 있다는 것. 주식으로 전환하지 않고 채권으로 그냥 가지고 있을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주식으로 언제든지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 자체가 '잠재적' 지분 희석 요인이 될 수 있다.

 

* 에프앤리퍼블릭의 사례

-> 위 사례처럼, 사업보고서 발행 후 전환사채 공시가 진행될 수 있기에 실적 점검 후 나왔는지 재발행될 수도 있다.

 

 

예시 4) 유상증자

 주식이 늘어나기에 주식가치가 희석될 것이다. 자세한 설명은 두산중공업 유상증자 때 한번 다룬 적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두산중공업] 유상증자 후유증? (tistory.com)

 

[두산중공업] 유상증자 후유증?

[두산중공업] 유증에 이어 코로나 변이까지... (tistory.com) [두산중공업] 유증에 이어 코로나 변이까지... [두산중공업] 두산중공업 사외 하한가.... (tistory.com) [두산중공업] 두산중공업 사외 하한가.

shaq-fun-777.tistory.com

 

리픽싱이란?

뉴시스 (newsis.com)

 

[금알못] 전환사채 `리픽싱'이 먼가요

[서울=뉴시스]신항섭 기자 = 오랜 기간 자본시장에서 논쟁이었던 전환사채(CB)의 리픽싱(전환가격 조정) 규정이 내달부터 바뀝니다

mobile.newsis.com

- 리픽싱 (전환가액 조정)

 

 -> 예를 들어 CB의 경우 예를 들어 3,500원에 전환 가능한데, 주가가 계속 떨어질 경우 CB 보유자의 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해 전환가액을 최대 30%까지 낮출 수 있는 제도이다. 

  즉, 3,500원이 전환가액인데 주가가 떨어진다 그러면 최대 2,450원까지 전환가액을 낮출 수 있는 제도이다. 당연히 CB 보유자들은 개꿀따리인데, 일반주주들한테는 좋을 리가 없는 소식이다. 문제는 전환가액은 낮출 수는 있었지만 올리는 규정은 없었기에 주가가 오를 때는 똑같은 3,500원에 계속 살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주가를 낮추고 전환가를 낮춘 다음 주가를 띄워 그만큼 차익을 얻는다는 음모론도 있다.

 리픽싱 제도는 현재 수정이 돼 12월부터 바뀌어, 주가가 오른 후에도 전환가액을 상향해야 한다는 의무 규정이 생겨 전환가액을 통한 장난은 줄어들 것이라는 소식.

 

 

-출처-

 

 

잠재적 지분희석 요인을 1분만에 체크하는 법 - YouTub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