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스토리/공부 (리포트, 유튜브)

[배당주] 2021년 배당주 관련 업데이트

by Shaq_Fun 2021. 12. 16.
반응형

https://shaq-fun-777.tistory.com/19

 

[배당주] 연말 투자는 배당주 어떠세요?

올해 특히 주식 시작한 저 같은 분들이 많으신데요. 코스피는 연초 코로나가 시작한 이후 급격히 하락하면서 3월 연저점(1457.64)을 시작하여 급격히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최근 장이 다시 오르면

shaq-fun-777.tistory.com

 

배당주 시즌의 귀환

   연말 배당시즌이 어느덧 다가왔다. 작년 연말과 비교해보면 분위기가 참 다르다고 느껴지는 한 해가 아닌가 싶다. 작년 하반기까지만 해도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품고 2021년을 맞이했던 기억이 나는데.. 올해는 하반기 지속적인 주가 하락으로 많은 분들이 심난했던 한 해가 아니었을까 싶다. 계속되는 하락과 변동성에 지치신 분들 이쯤에서 배당주를 눈여겨보는 것이 어떨까? 

  단, 기사에서는 지금이 배당주 살 시기라고 하지만, 오히려 지금 타이밍에 배당주 매수는 조심하라고 얘기하고 싶다. 매수보다는 이 기회를 통해 '배당주'에 대해 고민하고 공부해보는 시간으로 삼는 것을 추천한다. (설명은 페이지 하단 참고)

 

 

2020년 12월 ~ 2021년 4월 주가 추이

  - 2020년 12월 이후 코스피는 3,000을 돌파하며 2021년의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근데 그게 다였다. 22년에는 지금과 반대로 다시 코스피가 3,000을 돌파하며 비상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한다.

 

2021년 1월 삼성전자 주가 (2021년의 화려한 시작을 알린 국민 주식)

  - 전설의 96,800원을 찍으며 10만 전자로 등극하나 했는데, 그 이후 지속적으로 주가 하락하며 10만 전자의 꿈은 아직 멀었음을 알렸다.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삼성전자의 우수함은 누구나 알기 때문에 언젠가 삼성전자는 10만 전자를 분명 찍을 것이다. 언젠가는...

잡설은 집어치우고 그래서 올해 배당은 언제까지? 2021 배당 관련 Q&A

 

1)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언제까지 매수?

 

 - 연말 배당을 받으려면 12월 28일 (화) 저녁 6시 (정규시장 + 시간 외)까지 매수해야 한다.

 - 단, 이 날 보유 주식 매도하면 배당을 받지 못하는 점 주의하시길!

 

2) 배당락일이란?

 

   - 배당을 하는 만큼 주가가 조정되는 것을 의미. 배당락일에는 배당을 실시하는 기업들 주가가 배당률만큼 하락.

  - 올해 배당일은 12월 29일 (수). 즉, 배당에 대한 권리가 28일에 발생했기 때문에, 29일부터는 보유 주식 매도하더라도 배당 수령 가능.

 

3) 배당은 언제 받을 수 있나?

   

   - 배당은 연간 사업보고서가 나온 후, 주주총회를 개시하고 보통 1개월 안에 지급된다.

   - 일반적으로 국내 기업의 경우 4~5월 지급한다.

 

4) 2021년 폐장일? 2022년 개장일은?

 

   - 12월 30일 (목) 은 올해 마지막 주식 거래일로 폐장일이라고 부른다. 거래 시간은 동일

   - 12월 31일은 휴장일로 시장이 열리지 않으며, 거래가 없다.

   - 2022년 1월 3일 (월) 개장하며, 정규시장은 1시간 늦은 10시부터 시작하고 마감시간은 동일하다.

 

언론사 추정 고배당 금융주 순위

   - 보통 금융주의 배당금이 높은 편인데, 금융주 외에도 잘 찾아보면 배당을 높이게 주는 주식이 많다. 가급적이면, 여러 종목을 통해 배당과 함께 주가 상승을 노릴 수 있는 종목을 찾는 것이 Best이다.

 

배당주 관련 정보 얻는 곳 (네이버)

 - 네이버에서도 배당주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직접 확인해보시길 권한다. 특히, 과거 3년 간의 배당금까지 알 수 있기에 최근 배당 추이도 함께 알 수 있어서 더욱 유용하다.

연말 배당주 투자 주의해야 하는 이유 ex) 맥쿼리인프라

   - 금융주를 제외하면 KT&G와 함께 가장 유명한 맥쿼리인프라의 예시를 통해 연말 배당주 투자를 신중하게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1) 배당금을 받고자 하는 마음에 12월 28일 최고가인 11,250원에 맥쿼리인프라 주식을  10주 샀다고 하자. (아래 이미지)

  2) 아래 표에 보는 것처럼  2020년 하반기 맥쿼리 인프라의 배당은 1주당 360원으로 확정이 났다.

  맥쿼리인프라는 반기배당을 하므로 360원 X 2 인 720원 가정 시 무려 6.4%의 배당을 준다. 요즘 은행이자 생각하면 엄청난 수익이 아닐 수 없다.

 

 

  3) 하지만, 고려해야 할 것이 두 가지 있다.

  3-1) 배당소득세 15.4%

   - 배당금을 받을 경우 배당소득세 15.4%를 제하고 배당을 받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받는 금액은 더 줄어들게 된다.

  3-2) 배당받은 액수 이상으로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

 

 - 반기배당금 370원

 - 12월 28일 종가 (최고점) : 11,250원

 - 12월 29일 종가 : 10,850원이며, 1월 11일에는 10,300원까지 주가가 떨어졌다.

  - 28일 종가에서 1월 11일 불과 2주도 안 되는 사이에 무려 주가가 950원이 떨어졌다. 다행히 맥쿼리인프라의 경우 저점 찍은 이후 주가가 계속 올라 이 글을 작성한 12월 15일 14,000원으로 종가 마무리하였다. 만약 작년 연말에 맥쿼리 매수했을 경우 주가 상승으로 인한 시세차익과 함께 두둑한 배당금까지 받는 한 해가 되었을 것이다.

 

 4) 하지만, 모든 배당주가 맥쿼리가 되리란 법은 없다. 최악의 경우 배당금 받기 위한 매수 이후 주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져 아직도 회복을 못했다면 어땠을까? 배당금 조금 먹으려다, 시세차익으로 훨씬 더 큰 손해를 보았을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배당주가 안정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배당주의 경우도 이런 리스트가 있다는 것은 알고 투자하는 것이 손실을 최소한의 길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을 우연히라도 보신 분들은 꼭 매수하려는 배당주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보고 투자하시길 바라며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